[완주신문]완주군의회 통합반대특별위원회(위원장 서남용)가 지난 9일 익산시를 방문해 함열읍 주민들과 통합을 추진했던 실무자 및 당시 이리시의원을 만나 통합이후의 상황에 대해 듣고 왔다. 익산시는 지난 1995년 이리시와 익산군이 통합해 도농복합형 도시로 새롭게 출범해 30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통합을 추진하던 당시 이리시는 지역의 명칭을 익산으로 변경하고, 시청의 소재지도 익산군 지역으로 옮겨간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에 익산군도 익산시로 출범했다. 이날 만난 당시 통합을 추진한 실무자는 “새로 출범한 시청사는 기존 이리시 청사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익산군에는 시청사 대신 쓰레기 매립장과 퇴비공장이 들어섰다”며 한숨을 내쉬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에 앞서 완주군의회 유의식 의장에게 한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통합을 추진할 당시 이리시 의원이라고 밝힌 A씨는 “뉴스를 보다 우리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당시에는 이리시와 익산군이 합쳐지면 지역의 큰 발전이 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통합은 잘못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를 계기로 이번 간담회가 성사된 것. 간담회에 함께한 통합당시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통합하면 두 지자체 모두가 망가지게
[완주신문]펄펄 끓던 여름 오후, 나는 익산시 함열읍을 찾았다. 함열읍은 몇년전 도농 통합에 찬성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주민들은 그 당시 통합이 이곳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차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은 그 기대와는 전혀 다른 현실을 보여주고 있었다. 함열읍에 도착하자마자 한산한 거리와 버려진 듯한 건물들이 눈에 들어왔다. 한때 사람들로 붐볐을 상점들은 문을 닫은지 오래였고, 가로수 사이로 흩어진 낡은 간판들은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다. 통합의 꿈은 어디로 가고, 왜 이곳은 이토록 침체된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마을에서 만난 주민은 나에게 당시의 상황을 이야기해주었다. “통합이 되면 많은 게 나아질 줄 알았죠. 더 많은 지원을 받고, 우리 아이들은 더 좋은 학교에 다니고, 의료 혜택도 좋아질 거라고 기대했어요. 하지만 그 모든 게 헛된 꿈이었어요.” 그의 목소리에는 깊은 실망과 체념이 묻어 있었다. 통합 이후 함열읍은 점점 더 잊혀져 갔다. 시 예산은 다른 지역에 집중되었고, 함열읍은 그저 주변부로 밀려났다. 주민들은 약속된 지원이 오지 않자 실망했고, 점차 떠나기 시작했다. 남아 있는 이들은 갈수록 어려워지는 경제 상황
[완주신문]#아름답고 풍요로운 유토피아 도시 ‘오멜라스’. 이 도시 모든 주민은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 항상 축제와 음악, 예술을 즐길 수 있고 고통이나 불행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도시에 숨겨진 어두운 비밀이 있다. 오멜라스의 행복과 번영은 한 지하실에 갇힌 아이의 고통에 의해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아이는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음식과 물만 제공 받으며, 어둡고 비좁은 방에서 비참하게 살아간다. 어슐러K. 르귄이 1973년 쓴 단편소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의 줄거리다. 청주시를 방문했을 때 소설에 나오는 어둡고 비좁은 방에서 비참하게 살아가는 아이와 닮은 이들을 보았다. 지난 3일 본지는 통합 성공 사례로 꼽히는 청주시를 직접 둘러봤다. 청주시에 진입하면서 본 첫인상은 깔끔하고 정돈된 모습이었다. 오멜라스처럼 주민들이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영위하기 좋은 여건을 갖춘 도시 같았다. 지난 2014년 청원군과 통합 후 과거 청원군 지역이었던 서부지역은 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조화롭게 들어서 있었고, 저출산과 고령화 늪에 빠진 대한민국 지방 대부분과 다르게 지역소멸을 이겨내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청주시의 최북단에
[완주신문]대간선수로는 만경강 수계 상류의 물(대아댐, 경천저수지)을 고산 어우보(취입구)에서 취수해 63Km의 인공 도수로를 통하여 군산 옥구저수지까지 공급하는 수로로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하지만 익산 신흥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은 상수도로 사용된다. 본지를 통해 ▲일제 강점기 일제에 의해 수탈의 물적 토대로 건설된 대간선수로의 역사성과 상징성 ▲대간선수로의 처음 건설과정과 개량 개선에 의해 변화된 현재의 모습 등 토목과 수리 측면에서의 탐구 ▲대간선수로의 기능과 역할, 특히 식량자급 또는 풍년 농사를 위한 거대하고 체계화된 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 ▲대간선수로가 통과하거나 지나가는 인근의 도시와 마을들에 관한 이야기 ▲대간선수로의 창조적 미래, 문화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탐구 등을 전하려 한다.<편집자주> 대간선수로에 관한 글이 완주신문에 연재된 후 완주, 익산, 군산에서는 지역의 역사인문학 모임으로부터 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처음엔 작은 마음으로 시작했습니다. 차츰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면 이 인공수로의 가치와 역사적인 맥락 등을 이해하게 될 것이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가 클 것이라는 생각이 시작
[완주신문]대간선수로는 만경강 수계 상류의 물(대아댐, 경천저수지)을 고산 어우보(취입구)에서 취수해 63Km의 인공 도수로를 통하여 군산 옥구저수지까지 공급하는 수로로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하지만 익산 신흥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은 상수도로 사용된다. 본지를 통해 ▲일제 강점기 일제에 의해 수탈의 물적 토대로 건설된 대간선수로의 역사성과 상징성 ▲대간선수로의 처음 건설과정과 개량 개선에 의해 변화된 현재의 모습 등 토목과 수리 측면에서의 탐구 ▲대간선수로의 기능과 역할, 특히 식량자급 또는 풍년 농사를 위한 거대하고 체계화된 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 ▲대간선수로가 통과하거나 지나가는 인근의 도시와 마을들에 관한 이야기 ▲대간선수로의 창조적 미래, 문화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탐구 등을 전하려 한다.<편집자주> 만경강 북쪽의 평야지대(완주, 익산, 군산)의 중심 물줄기인 대간선수로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보통은 제1도수로(고산 어우리 ~ 삼례 후정제수문) 15Km, 대간선(삼례 후정제수문 ~ 옥구 어은리 옥구저수지) 48Km, 합계 63km로 알려져 있다. 과연 63km인지 검토해 보자. 1. <전북농조 88년사>의 “수로규정 일람표”에 의한
[완주신문]대간선수로는 만경강 수계 상류의 물(대아댐, 경천저수지)을 고산 어우보(취입구)에서 취수해 63Km의 인공 도수로를 통하여 군산 옥구저수지까지 공급하는 수로로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하지만 익산 신흥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은 상수도로 사용된다. 본지를 통해 ▲일제 강점기 일제에 의해 수탈의 물적 토대로 건설된 대간선수로의 역사성과 상징성 ▲대간선수로의 처음 건설과정과 개량 개선에 의해 변화된 현재의 모습 등 토목과 수리 측면에서의 탐구 ▲대간선수로의 기능과 역할, 특히 식량자급 또는 풍년 농사를 위한 거대하고 체계화된 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 ▲대간선수로가 통과하거나 지나가는 인근의 도시와 마을들에 관한 이야기 ▲대간선수로의 창조적 미래, 문화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탐구 등을 전하려 한다.<편집자주>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수리시설 황등제 황등호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었던 인공 저수지이다. 황등호의 둑(堤防)은 마한 기준왕 때 또는 백제 때 쌓았다고 전해져 내려왔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황등제에 대한 기록이 없다. 삼국사기에 330년(흘해이사금 21) 김제 벽골지를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벽골제가 그동안 우리나라 최초의 인
[완주신문]연초부터 전주시의 행정구역 통합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전주시장은 신년기자간담회에서 완주군과 통합을 선포하고, 완주군에서는 한 민간단체에서 통합 건의를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그간 미풍에 그쳤던 전주시의 통합 추진이 행정과 민간단체의 협업으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완주군 일각에서 전주시의 통합 추진을 수수방관하다가는 실익조차 따져 보지 못하고 완주를 내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본지는 2010년 제작된 ‘완주군의회 완주·전주통합반대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를 입수해 타 시·군 방문 보고 내용을 소개하려 한다.<편집자주> 완주군의회 완주·전주통합반대 특별위원회는 지난 2009년 11월 5, 6일 여수시로 출장을 다녀왔다. 이곳에서 특위는 김명남 당시 여수시의원을 만나 통합 이후의 상황과 통합 반대운동 과정을 청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합 전 여천군은 대단위 공업단지가 있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 통합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은 반대가 많았다. 여천시 인구는 통합 전 33만명에서 통합 후 29만명으로 줄었다. 통합이 되며 시청사를 여천군 지역으로 옮긴다 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이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통
[완주신문]연초부터 전주시의 행정구역 통합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전주시장은 신년기자간담회에서 완주군과 통합을 선포하고, 완주군에서는 한 민간단체에서 통합 건의를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그간 미풍에 그쳤던 전주시의 통합 추진이 행정과 민간단체의 협업으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완주군 일각에서 전주시의 통합 추진을 수수방관하다가는 실익조차 따져 보지 못하고 완주를 내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본지는 2010년 제작된 ‘완주군의회 완주·전주통합반대특별위원회 활동 보고서’를 입수해 타 시·군 방문 보고 내용을 소개하려 한다.<편집자주> 완주군의회 완주·전주통합반대 특별위원회는 지난 2009년 10월 8, 9일 안동시로 출장을 다녀왔다. 통합지역인 안동군을 방문해 이들의 반대운동 전개와 통합 후 시가지 모습을 시찰하기 위해서다. 이곳에서 특위는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최세동 이장과 상가 주민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합 전 도산면 서부리 지역은 인구 900명에 육박하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통합이 되고 유동인구도 거의 없고 과거에 번성하던 상가 50여곳도 거의 문을 닫고 겨우 일곱군데만 가게 문을 열고 있는 상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