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기고]인구 10만 시대 완주, 자립성장으로 지역균형

[완주신문]완주군이 인구 9만9909명을 돌파하며 ‘10만 인구 달성’이라는 역사적인 전환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는 단지 숫자 하나가 바뀌는 것이 아닌, 우리 완주가 중견 자치단체로서의 위상과 미래 전략을 새롭게 구상해야 할 시점임을 말해준다.

 

과연 우리는 이 소중한 인구 성장을 어떻게 지역 균형 발전과 군민 행복으로 연결시킬 것인가.

 

완주는 수십 년 전부터 전주시의 배후도시로 불렸지만 지금은 더 이상 그에 머물러 있지 않다. 봉동읍과 삼례읍, 용진읍, 이서를 중심으로 한 신도시권은 주거지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삼봉지구, 운곡지구복합행정타운등은 완주의 자생적 도시기능을 뒷받침하고 있다.

 

여기에 농촌지역인 고산 6개면과 구이, 상관, 소양 등은 농촌 융복합 산업과 생태관광, 귀농귀촌 정책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성장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한 완주는 ‘수소특화 국가산단’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수소충전소 및 수소전기차 보급률 전국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이 모든 기반은 ‘완주만의 경제생태계’가 가능하다는 실질적 근거다.

 

최근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는 완주·전주 행정통합 논의는 완주의 정체성과 미래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는 사안이다.

 

통합에 반대하거나 신중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결코 지역 이기주의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그 속엔 지역의 고유성과 행정적 자율성, 군민 주권을 지키려는 절박함이 담겨 있다.

 

첫째, 완주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복합행정체다. 통합이 이뤄질 경우 면 지역의 인프라 소외와 예산 배분의 불균형은 피할 수 없다. 전주의 구도심 중심 행정 논리가 적용된다면 고산6개면과 구이·상관·소양과 같은 지역은 점점 더 낙후될 수밖에 없다.

 

둘째, 지금껏 완주는 농촌형 맞춤 정책과 군민 밀착형 행정을 통해 지역을 키워 왔다. ‘읍면 주민자치 확대’, ‘주민참여예산제도 개선’ 등 군민 참여형 행정이 가능했던 것도 완주가 독립된 자치단체였기 때문이다.

 

셋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민 동의 없는 통합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도 통합 추진 당시 완주군민 55,34%가 반대 입장을 보였다. 이처럼 통합은 ‘정치적 이벤트’가 아닌 주민이 주체가 되어 결정할 문제이며, 광역권 차원의 균형발전 논의와는 엄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완주는 이제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인구 10만 달성 이후에는 새로운 행정체계 개편과 복지·교육·문화 인프라 확충, 지역 내 일자리 창출, 청년 유입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읍·면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권역별 균형개발 전략’이 시급하다. 봉동,삼례·용진·이서권은 자족기능 강화를, 고산6개면과 구이·상관·소양권은 농업과 생태문화 중심지로 특화시키는 방식의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 청년 정주여건 조성, 시니어 복지타운 건립, 대중교통망 확충, 농촌 공동체 회복 등도 주요 과제다.

 

나는 의정활동 내내 ‘완주는 완주답게, 군민은 주인답게’라는 신념으로 일해 왔다. 10만 인구 시대는 스스로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자치의 시대’여야 한다. 통합이나 외부 의존보다는 완주가 스스로 선택하고 스스로 성장하는 길을 가야 한다.

 

완주의 인구 10만 시대는 완주군민 모두가 이룬 값진 성취다. 이제는 이 성장을 군민의 삶으로 돌려주어야 한다. 통합이라는 외부 논의에 흔들리지 않고, 완주 고유의 색깔과 가치를 지켜가야 한다. 자립과 분권, 그리고 주민 참여를 통해 완주는 ‘지역균형 발전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완주를 누구와 함께 갈 것인가’가 아니라 ‘완주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이다. 이제는 숫자보다 철학이, 크기보다 내용이, 외부보다 내부가 중요한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