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기고]통합은 해답이 아니라 문제 그 자체

[완주신문]최근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완주·전주 통합’을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로 명시하며 지역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마치 지역 발전의 만능 해법인 양 포장된 이 주장은, 그러나 지역 주민의 목소리나 실제 삶의 현장과는 동떨어진 일방적 구상에 불과하다.

 

완주군은 독립된 생활권과 행정 체계를 가진 자치지역이다. 그동안 주민들이 스스로 마을을 지키고,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지역복지 체계를 구축하며 ‘완주형 모델’을 만들어왔다. 그러한 자치 역량과 정체성을 외면한 채, 정치권이 정권 교체기마다 되풀이하는 ‘통합’ 논의는 지역사회의 실체를 철저히 무시한 채 추진되는 탁상공론일 뿐이다.

 

국민의힘이 공식 대선 공약으로 완주·전주 통합을 제시한 것은, 그 목적이 지역의 자율적 성장이나 주민의 실익에 있지 않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닌, 정치적 계산과 개발 논리를 앞세운 전형적인 상명하달식 접근이다. 지역사회와 주민은 철저히 배제된 채, ‘통합’이라는 미명 아래 일방적 구도가 강요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완주·전주 통합은 지역 정체성과 생활권, 주민자치의 근간을 뒤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다. 따라서 필자는 통합을 명확히 반대한다. 더 이상 정치권 주도의 통합 논의는 설 자리가 없다. 특히 ‘주민투표’라는 형식을 빌려 통합 추진의 명분을 쌓으려는 시도는 오히려 지역을 이분화하고 공동체를 분열시킬 위험이 크다. 일방적 프레임 안에 주민의 선택을 끼워 넣는 방식은 민주주의를 가장한 반(反)민주적 시도일 뿐이다.

 

필자는 완주·전주 통합을 단호히 반대한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반발이 아니라, 완주군이 이미 독자적인 자립 기반과 미래 비전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완주군은 수소경제 거점도시, 농생명 융합산업, 융복합 소재·부품 특화산업, 문화산단 조성 및 랜드마크 개발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지역 산업을 고도화하고 있다. 복지와 교육 인프라 확충, 청년정착 지원 정책 등도 체계적으로 추진되며 인구 10만 시대를 실질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실제로 삼례, 봉동, 이서 등 핵심 지역은 대단위 주거단지 조성과 광역 교통망 개선이 이뤄지며 인구 유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완주가 스스로의 힘으로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명백한 근거다.

 

지역 발전의 해법은 외부의 기획이 아니라, 주민의 삶 속에 있다. 더 이상 중앙의 정치적 기획에 지역이 휘둘려서는 안 된다. 진정한 지역 발전은 주민의 삶을 존중하고, 지역의 선택을 존중하는 것에서 시작돼야 한다. ‘통합’은 해답이 아니라, 문제 그 자체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