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완주군 동상면 구수마을 뒷산에는 장군봉이라는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명산이 우뚝 솟아 있다. 아니 산 이름보다도 해골 바위로 더 유명세를 탄다. 그리고 장군봉 옆에는 성산이라는 또 하나의 큰 산이 있는데 필자는 산 정상에 산성이 있어서 이리 불리워 지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성에 대한 구체적인 무슨 기록이나 이름등으로 알려진 바는 없다.그러다보니 주변 마을 사람들이나 등산객들 사이에서 "왜 산성이 여기에 있을까" 하고 궁굼해 하는 것을 필자는 성재산성 답사를 다녀 오는 도중에 만난 등산객들에게 들었다. 성재산성은 진안군 주천면과 완주군 동상면 경계에 있는 성으로 구수마을에서 장군봉을 지나 오를 수도 있지만 동상면에서 운장산 오르는 피암목재 주차장에서 주로 오른다. 피암목재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잠시 휴식을 취한 다음 도로 건너서 보면 전봇대 옆으로 능선을 따라서 오르는 길이 있는데 경사가 심하니 밧줄을 잘 잡고 오르면서 출발 하면 된다. 이 길은 마지막까지 따라서 가면 진안에서 운주로 넘어 가는 싸리재로 이어 지는 길이다. 필자는 실제로 싸리재에 주차를 하고 왕사봉까지 봉화대를 찿으러 간적이 있었는데 피암목재에서 싸리재까지 걸어 와서 탈진한
[완주신문]완주군 만경강은 동상면 밤샘에서 발원해 동상호를 이루고 대아댐에서 잠시 머물다 안수산 아래 고산천을 굽이돌아 용진과 봉동 들녘을 가르면서 유유히 흘러 삼례읍 비비정에서 붉은 노을에 물들며 서해로 흘러간다. 전통 농업문화유산 생강으로 잘 알려진 봉동읍에는 오래전부터 봉동의 어머니 산으로 불려지는 봉실산이 있다. 필자가 완주군의 관방 통신 유적을 수년간 사진으로 기록하면서 느낀 중요한 한가지는 봉동의 봉실산을 기점으로 서남부로 넓게 펼쳐진 완주 평야가 서서히 끝이 나고 동북면으로 갈수록 험준한 산악 지형이 시작된다는 것이다. 또한 동북면에 산이 높고 험하다보니 산성과 봉화대같은 관방 통신 관련 유적이 많고 계곡에서는 제철이나 자기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례 비비정 옆에는 삼례토성이 있어서 만경강을 거슬러 오는 모든 것을 지키는 관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금은 토성이 없어져 무심코 흐르는 강물만이 옛 성터의 흔적을 기억할 뿐이다. 둔산리 산업단지 내에는 그리 높진 않지만 배매산성이 있어서 봉실산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였다고 전한다. 익산시와 완주군의 경계에 위치한 봉동 제내리 뒷산 진천 송씨 종중산에는 학현산성이 있다.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