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이전 개재한 두편의 글을 통해 마을교육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고산지역 이야기와 학교 현장에서 양육자 중심으로 기획하여 진행한 실제 프로그램을 소개해 보았다. 진보를 표방하는 여러 지역의 교육청의 상당수는 ‘마을교육’을 지역소멸에 대응할 대안으로 인식하며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나름대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발하게 진행하는 지자체(예-시흥시)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마을교육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던지며 필자 나름의 답을 해본다. 첫째, 마을교육은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마을교육은 마을에서 마을 주민들에 의해서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학교밖 교육은 잘 갖춰진 학원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인해 진학 중심의 교육(국영수사과)에 숙련된 전문가들에 의해 교육이 이루어지고, 학교는 이러한 학생들을 평가하는 기관이 되어가고 있기도 하다. 반면에 학원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은 농어촌에서는 또다른 교육 주체가 있어야 한다. 주민이 이 자리에 있는 것이 마을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의 학원 시스템에 비해서 국영수사과 중심의 교육 스킬은 약할지 모르지만, 동네에서 익숙한 삼촌 이모들이 강사로 투입되어 교육
[완주신문]“떡 하나 주면 안 잡아 먹지!” 안밤실과 바깥밤실(외율마을)을 잇는 옛길을 따라 어른들께 떡을 전하는 심부름을 가던 아이들이 호랑이를 만났다. 아이들은 호랑이 탈을 쓴 사람이 ◎◎이 아빠라는 것을 알기에 하나도 무섭지가 않다. 안밤실(고산 원산마을) 마을회관 앞은 아침부터 찾아온 아이들로 시끌벅적하다. 삼우초 1,2학년 아이들이 안밤실에 마을공부를 하러 온 것이다. 안밤실 이장님은 찾아온 어린 손님들에게 마을을 소개하고 나서 ㅇㅇ아빠와 함께 외얏골까지 데려다 주었다. 외얏골에 사는 젊은 할머니는 찾아온 아이들에게 골짜기를 소개해주고 안밤실과 바깥밤실(외율마을)을 잇는 옛길을 따라 가서 외율마을 어른들에게 떡을 갖다주라고 심부름을 시켰다. 아이들은 어른들 이름이 써있는 떡 세 개를 나눠받고 산길을 나섰다. 가는길에 밤새 떨어져 있던 밤을 한참이나 주우며 재를 넘어갔다. 오르는 중에 이끄미를 맡은 △△엄마와 □□엄마에게 풀이며 나무며 설명을 들으면서 가노라니, 신기하게 생긴 버섯을 보고 둘러앉아 나뭇가지로 꾹꾹 찌르니 버섯이 방귀를 뀐다. 그순간 호랑이 탈을 쓴 ◎◎아빠 ◇◇아빠가 나타나 ‘떡하나 주면 안잡아 먹지’한다. 결국 가위바위보를 해서 아이
[완주신문]지역소멸은 이제 새삼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다. 이에 앞서서 먼저 농어촌 지역의 학교들이 사라지기 시작한다. 농어촌 지역의 학교에 다녀야 할 아이들이 줄어들다보니 나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학교가 사라진 농어촌에는 아이들을 양육해야하는 젊은 청년들이 들어오지 않게 되고, 아이들과 젊은청년이 사라진 농촌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레 소멸의 길로 가게 되는 것이다. 현상은 이러한데 대책은 무엇일까? 학교의 소멸을 막기 위한 많은 지자체들의 노력은 다양하게 나온다. 대체로 청년층을 겨냥한 막대한 경제적 지원이 주류를 이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공하는 지자체들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단순한 경제적 지원은 청년들을 끌어들이기에 큰 매력이 없음이 분명해 보인다. 여기서는 필자가 사는 고산 중심의 마을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대안을 소개해 보려고 한다. 고산면은 최근 10여년동안 인구가 줄지 않고 오히려 유입이 많은 지역에 속한다. 특히나 청년층의 유입이 눈에 띄는 지역이다. 그 시작점에 교육이 있다. 2000년 초부터 작은학교 살리기의 일환으로 시작된 삼우초등학교가 알려지며 여기에 아이들을 보내기 위해 귀촌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이즈음에 로컬푸드를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