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기고]이중 보도 소외와 2% 구독률

[완주신문]최근 몇년 동안 지역 언론계에서 회자되던 말은 ‘뉴스 사막화’였다.

 

사막화가 진행되듯이 지역에 지역 언론사가 현저히 감소하면서 지역 공론장의 기능을 상실하는 곳이 늘어나는 걸 비유한 말이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지역 언론사라는 것은 자체적인 기사를 생산하고, 기획 콘텐츠 발굴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론장을 만드는 언론사로 한정하는 것이 맞을 듯하다. 

 

지역은 공론장 형성에서 ‘이중 보도 소외’와 ‘2% 구독률’이라는 두 가지 어려움을 안고 있다. 우선, 작은 시군 지역은 수도권 중심주의로 인한 보도 소외, 광역 중심으로 인한 보도 소외라는 <이중 소외> 현상 속에서 지역의 현안과 지역민들의 목소리가 공론장에 전달되기 어렵다. 실제 전주, 군산, 익산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의 보도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에서 발행한 <방송 3사 시군 의제 보도 실태 보고서>를 보면 2021년 전북 방송 3사가 전주, 군산, 익산을 제외한 11개 시군과 관련해 주요 의제로 기사화한 것은 전체 보도의 5% 내외에 불과하다.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지역지가 왜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수치이기도 하다.

 

두번째는 지역의 신문 구독률이 2%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지역뉴스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질수록, 구독자가 적을수록 행정에서 지출하는 홍보비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출입처 중심주의는 보도자료 의존율을 높이고, 기사가 획일화되는 문제를 낳는다. 

 

완주는 이러한 상황에서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까? 지역의 석산개발로 인한 주민 건강권 문제, 의료 폐기물 소각장 분쟁에서 나오는 주민들의 우려 목소리 등을 완주신문에서 지속적으로 보도하지 않았다면 이만큼 공론화될 수 있었을까?

 

이처럼 기존에 가지던 지역 언론의 한계를 이겨내고 건강한 콘텐츠를 지역 언론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지역 언론 지원 조례>가 논의되고 있다. 지역 언론의 건강한 유지와 발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지역 사회 내 공적지원구조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이미 눈여겨볼 사례들도 존재한다. 경남과 부산에서는 수년 전 조례를 제정하며 지역 언론의 경영 여건 개선과 정보화, 언론 발전을 위한 인력 양성과 교육, 조사·연구 사업,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취약계층 정보, 지역 현안과 갈등 조정 관련 토론회 개최와 콘텐츠 제작사업, 공익성 제고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등에 지원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를 마련했다. 다만 기금 지원을 위한 기준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정상적 발행과 자체 생산 기사 비중, 구독률 조사, 언론사 임직원의 법률 위반 여부 등을 위반한 곳은 기금 지원 사업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이건 사이비 언론의 난립을 막고, 공적 기금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체 조건이라는 점에서 기금 지원과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강원도의회에서도 의원 발의로 ‘지역방송과 지역신문발전지원 조례안’을 통과시키며 공적 지원의 물꼬를 텄다고 한다.

 

아쉽게도 전북 지역은 지역 신문 구독자 지원 조례로 전국에서 제일 먼저 공적기금 형성의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현재까지 조례 제정이 진행되지 못했다. 지역 언론의 ‘미래’ 없는 지역사회의 내일은 가능하기 어렵다. 지역사회의 안녕한 내일을 위해 ‘지역언론지원조례’에 관심을 갖는 지역주민들이 많아지길 기대한다. 전북 지역의 첫 물꼬를 완주에서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