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전북민언련, 언론 홍보비 집행기준 마련 촉구

논평 통해 예산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 요구

[완주신문]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전북특별자치도청에 언론 홍보비 집행 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10일 전북민언련은 논평을 내고 새로 임명된 김철태 대변인에게 “공적 자금인 홍보 예산이 우호적 언론 관계 형성을 위한 자치단체장의 쌈짓돈으로 전락했다는 지역사회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며, 감사위원회 지적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라도 대변인실은 홍보비 집행 기준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새로운 신임 대변인이 어떻게 과제를 풀어나갈지 지역 시민사회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제도 개선을 통해 전북자치도청의 홍보비 집행 기준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2025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철태 대변인은 김관영 지사 취임 이후 세 번째 임명됐으며, ‘예산통 공무원’ 출신이라는 점에서 행정 광고 등 대변인실 예산의 투명성을 높이고 신뢰를 확보해 나갈 것인지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북민언련에서 홍보비 집행 기준을 요구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24년 대변인실의 선심성 광고비 지급 논란이 발생하면서 도내 약 60여 개의 시민사회단체는 진상 공개와 철저한 감사를 촉구하고 나섰고, 이후 감사위원회는 광고비 연간 계획 수립을 소홀히 한 사유 등으로 대변인실에 기관 경고‧주의 조치를 했다. 합리적인 근거 없이 대변인의 결정에 따라 광고비가 집행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효율성이 극대화되지 못하고 공공기관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훼손한다는 것으로 같은 지적사항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반복돼 나오기도 했다.

아울러 전북민언련은 지난해 보고서 발표와 관계자 면담을 통해 인쇄·방송·인터넷 매체 이용조사를 수행할 전문 리서치 기관을 선정하고, 통계학·미디어·사회학(사회통계) 등 유관 분야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 세밀하게 조사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지표 개발 방식 등을 포함한 ‘홍보비 집행 기준’ 논의를 위한 공론장 마련 및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위원회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