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28일 전북 전주시 덕진구 전북여성가족재단 앞에서 전북과 충남 지역 주민·환경단체들이 모여 ‘신임실~신계룡 345kV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전면 재검토와 입지선정위원회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기자회견은 송전탑건설백지화전북대책위원회’와 ‘충남송전탑백지화대책위원회(준)’, ‘송전선로금산군경유대책위원회’, ‘충남환경운동연합’ 단체가 공동 주최했다.
단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국무총리 주관 국가전력망위원회가 지난 10월 1일, 99개 구간 3855km에 달하는 초고압(345kV) 송전망 사업을 일방적으로 지정했다”며, “한국전력은 주민 동의나 충분한 검토 없이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서둘러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신임실~신계룡 구간은 한빛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전력 공급을 위한 노선으로 “수도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강화하고 지역 주민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주민단체들은 현행 입지선정 절차의 문제점으로 ▲회의 비공개 ▲위원 발언 및 찬반 의견 미공개 ▲주민대표의 사전 의견수렴 부재 ▲일반 주민·시민단체의 참관 불허 등을 꼽았다.
노선 평가에 활용되는 AHP(계층분석법)이 일반 주민이 이해하기 어렵고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밀양 송전탑 사태와 같은 갈등이 재현될 수 있다”며, “이 사업은 주민의 불신과 저항을 키울 뿐”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그들은 “윤석열 정부의 중앙집중식 전력정책을 그대로 이어가서는 안 된다”며, “이재명 정부는 진정한 국민주권 정부로서 투명하고 민주적인 에너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여 단체들은 향후 정부와 한전의 대응을 지켜보며, 송전선로 건설사업 전면 중단을 위한 공동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