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완주신문(발행인 박종인)과 봉동지역아동센터(센터장 이진호)가 지역사회 봉사를 위한 협력과 활동 지원을 위해 5일 업무협약을 맺었다. 양 기관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와 지원을 할 예정이다. 아울러 완주신문 박종인 발행인은 봉동지역아동센터에 매달 100만원씩 지원해, 도움이 필요한 아동에게 직접 쓰일 수 있도록 부탁했다. 이에 이진호 센터장은 “돈을 가정에 직접 전달할 경우 부모가 본인들 용돈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센터 교사들이 동행해 아이들이 학용품이나 옷 등 필요한 물품을 직접 살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완주신문]유희태 군수 취임 이후 완주군이 군민의 건강을 더 촘촘하게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완주군에 따르면 유 군수 취임 후 군은 정부가 추진하는 상위 1% 수상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2023년 감염병관리 유공자 포상’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상은 매년 질병관리청이 전국 256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관리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우수기관을 선정해, 포상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수여하는 권위있는 상이다. 유 군수는 취임 이후 법정감염병 의료기관 신고기한 준수율 ▲만 65세 어르신 폐렴구균 접종률 ▲만 12세 HPV예방접종률 ▲지자체 감염병분야 자체 지역협력 사항 등을 꼼꼼하게 살폈다. 그 결과 군은 2023년 의료기관 신고기한 준수율 100%, 법정 감염병에 대한 신고 누락 및 신고 지연 사례가 단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만 65세 어르신 폐렴구균 및 만 12세 자궁경부암의 높은 접종률, 지역협력사항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국가예방접종 외에도 대상포진, 만 14~64세 독감 예방접종 등 완주군 자체예방접종을 실시했으며, 꾸준한 지역협의체를 운영해 지역사회 내 감염병 유관기관(민간, 공공)과의 협력에 앞장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희태 군수는 “군민 건강과 직결된 감염병 관리 분야에서 큰 상을 받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감염병 예방에 최선을 다해 모두가 누리는 건강한 미래행복도시 완주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완주신문]완주군에서 운영하는 '읍면현안조정 협의체' 근거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달 30일 이주갑 의원은 군정질의 중 "각 읍면에는 주민자치위원회 등이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며 "현안에 따라서는 자율적으로 읍면별 기관, 단체장 회의를 진행해 대소사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안조정 협의체라는 또 하나의 기수를 추가 구성했는데, 그 근거와 논리가 매우 빈약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유희태 군수는 "협의체가 법적 기구는 아니지만 임의적 형태로 얼마든지 운영할 수 있고, 주민들의 폭넓은 의견을 효율적으로 수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이 의원과 유 군수는 이 과정에서 신경전을 이어가며, 협의체 설립을 '졸속'으로 설립했다는 이 의원의 발언과 관련해 유 군수가 지나친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 군수는 이 의원의 발언에 '착각'이라고 답변하면서 이 의원이 부적절한 표현이라고 발끈했다. 한편, '완주군 읍면 현안조정협의체'는 지난 8월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읍면장과 주민자치위원장, 이장협의회장, 부녀회협의회장 등 당연직 4명을 포함 7명으로 구성됐다.
[완주신문]완주군 소셜굿즈센터 인력 감축에 대한 공방이 있었다. 먼저 완주군의회 심부건 의원이 완주군이 사회적경제를 축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30일 심부건 의원은 군정질의를 통해 “소셜굿즈센터 인력을 9명에서 1명으로 줄이겠다고 하는데, 이것은 민선 8기가 사회적경제를 축소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어 “사회적경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시장경제를 보완하고 실업, 양극화, 고령화 등 시장경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본주의 경제의 보완재로서 그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며, “사회적경제의 주체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은 개별 기업별로 근거법률이 제정돼 소관부처가 이에 따른 육성·지원·관리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희태 완주군수는 “사회적경제를 축소하는 것 아니라 완주 경제조직 전체를 실속이게 개편하는 것”이라며, “현재 해당 조직의 운영비와 인건비가 전체 예산의 70%를 넘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조직 구성원 보다 수혜자들에게 혜택이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