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비가 오나 눈이 오나 완주·전주통합을 반대하며 목소리를 내온 지 벌써 1년 4개월 넘었다.
그동안 수많은 군민들이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섰고, 서명을 모았고, 때로는 눈물로 호소했다. 이 싸움은 정치 문제가 아니라 완주라는 이름으로 살아온 우리의 삶을 지키기 위한 싸움이었다.
▣통합은 발전이 아니라 소멸의 시작이었다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전주와 완주의 통합 논의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통합을 주장하는 쪽은 ‘규모의 경제’, ‘행정 효율’, ‘균형발전’을 말하지만 그 말이 현실이 되었다는 사례는 어디에도 없다. 마산·창원·진해 통합 이후 마산이 쇠퇴한 사례, 청주·청원 통합 후 외곽 지역이 소외된 현실을 우리는 이미 보고 있다.
행정구역을 합친다고 삶의 질이 나아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주민의 자치권과 지역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도농 간 격차만 심화될 뿐이다.
▣완주는 완주답게, 자치로 살아온 땅이다
완주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독특한 지역이다. 삼례·봉동·이서의 도시생활권과 10개 면의 농촌생활권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이 다양성과 균형이 바로 완주의 힘이다. 완주는 스스로 발전의 길을 개척해왔다. 로컬푸드, 사회적경제, 문화이장, 주민자치, 청년공동체 등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지역 자치모델을 만들어온 곳이다.
이 길을 지켜내는 것이야말로 완주를 살리는 길이다.
▣통합보다 중요한 것은 제도적 자치 보호 장치다
정권이 바뀌고, 도지사와 시장이 바뀔 때마다 통합 논의가 되살아나는 현실을 이제 끝내야 한다.
누가 집권하든, 군민의 뜻이 바뀌지 않으면 통합은 절대 추진할 수 없도록 법과 제도로 막아야 한다. 이제 ‘반대운동’을 넘어 완주 자치권 보호 조례 제정, 주민투표 의무화, 도 조례 개정건의, 중앙정부 청원 등 제도적 장치를 세워야 한다.
통합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사람’을 막는 것이 아니라, 법과 제도를 바꾸는 것이다.
▣우리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완주를 지켜온 것은 거창한 정치가 아니라, 매번 현장에서 묵묵히 나와준 군민 한사람, 한사람의 힘이었다. 그 힘이 있었기에 완주는 흔들리지 않았다.
앞으로 통합 재추진의 조짐이 보인다면 우리는 다시 깃발을 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더 단단한 근거와 더 넓은 공감으로 나서야 한다. 감정의 싸움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자치의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
▣완주는 완주답게, 군민이 주인이다
완주는 이미 하나의 자치도시다. 통합이 아니라 완주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는 완주형 자치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제 우리의 싸움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누가 도지사가 되든, 누가 시장이 되든 완주군민이 주인인 한 완주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완주는 완주답게, 군민이 주인이다. 그것이 우리가 걸어온 이유이고 앞으로도 지켜야 할 약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