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내기철 외래품종 대신 국산품종

  • 등록 2021.05.20 11:13:50
크게보기

알찬미‧참드림‧해들 등으로 대체

[완주신문]전국적으로 모내기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추청(아키바레), 고시히카리 등 외래 벼 품종 재배가 줄어들고 있다.

 

외래 벼 품종을 심었던 지역에서는 알찬미‧참드림‧해들 등 밥맛 좋은 국산품종을 재배하면서 정부의 벼 외래품종 대체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오는 2024년까지 벼 외래품종 재배면적을 1만ha까지 줄인다는 목표로 올해는 지난해보다 1만ha 줄어든 4만7000ha까지 감축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외래품종은 추청‧고시히카리‧히토메보레‧밀키퀸 등 대부분 일본 품종이다.

 

이들 외래품종의 재배면적은 2018년 7만5706ha, 2019년 6만5967ha으로 감소세에 있으며, 지난해에는 국내 벼 재배면적 72만6432ha의 7.9% 수준인 5만7246ha까지 줄어들었다.

 

2020년 기준 외래품종별 재배면적을 보면 추청이 4만4757ha로 압도적으로 많고 그 다음 고시히카리 9766ha, 히토메보레 2385ha, 밀키퀸 214ha, 기타 126ha 순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충북이 전체 외래품종 재배면적 5만7246ha의 77.8%인 4만4538ha를 차지하고 있다.  

 

농진청은 국내 벼 재배면적 가운데 외래품종이 차지하는 면적을 매년 1만ha씩 감축해 2024년에는 1만ha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벼 외래품종 대체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올해 외래품종 재배면적을 지난해(3만6379ha)보다 12.5%(4552ha) 줄어든 3만1827ha까지 축소하고, 충청북도는 지난해(8159ha)보다 14.2%(2185ha) 줄어든 7000ha까지 각각 감축시킬 예정이다.

 

외래품종을 재배한 지역에서는 농촌진흥청과 민간이 육성한 밥맛 좋은 최고품질 벼 품종이 보급돼 재배되고 있다.   

 

추청은 국산품종 알찬미‧진수미‧참드림‧삼광벼 등으로 대체 중이다. 고시히카리와 히토메보레는 국산품종 해들‧청품‧해담쌀‧맛드림 등으로 바꿔나가고 있다. 

 

이들 국산품종은 병해충에 약하고 잘 쓰러져 재배하기 어려운 외래품종과 달리 병해충 저항성이 우수하고 잘 쓰러지지 않아 재배하기 쉽고 수량도 많다.

 

또한 ‘2017년 소비자 밥맛 평가’에서는 추청을 대체하기 위해 내놓은 알찬미가 추청보다 더 맛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고시히카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해들도 고시히카리보다 밥맛이 더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농진청 식량산업기술팀 정병우 팀장은 “벼 외래품종 대체 및 최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앞으로 지역 맞춤형 벼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또한 개발된 품종들이 원활히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종자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최고품질의 쌀 생산‧유통을 위한 거점단지 조성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범수 기자 dosa2092@hanmail.net
Copyright @2019 완주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주)완주미디어 | 등록번호 : 전북 아00528 | 등록일 : 2019-05-30 | 발행인 : 박종인 | 편집인 : 유범수 | 주소 : 완주군 봉동읍 낙평신월1길 5-5, 3층 | 전화 :063-291-0371, 010-2994-2092 FAX: 063-261-0371 | Email : dosa2092@daum.net 완주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