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다가오는 대선은 단지 정권 교체의 문제가 아니다. 지역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분수령이 될 수 있다. 특히 완주군 입장에서 보면 이번 선거는 자칫 ‘전주로 흡수 통합’이라는 현실적인 위협을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국민의힘 일부 후보들은 행정구역 통합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인구 감소와 재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메가시티’ 구상과 ‘광역화’를 추진하는 방향이다. 행정의 효율성을 내세우며 도시 간 경계를 허물고 소규모 자치단체를 큰 틀 안에 편입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러한 구상은 겉보기에는 미래지향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지역 고유의 자치권을 약화시키고 소외된 군 단위 지역을 대도시의 행정 말단으로 전락시킬 위험을 안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지방분권과 자치 강화를 기조로 한다. 지역 주민의 삶과 밀접한 결정을 지역 스스로 내릴 수 있도록 권한을 이양하고 균형 발전을 위해 재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소멸 위기 지역에 실질적인 자율성과 생존력을 부여하는 실천적 철학이다.
이러한 정당 간 정책의 뚜렷한 차이는 완주군에게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현재 일각에서는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을 주장하며, 마치 그것이 ‘발전의 길’인 양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은 완주가 가진 고유한 정체성과 정책적 독립성을 희생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전주의 외곽’이 되느냐, ‘독립된 지방정부’로서 존속하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것이다.
지방정부의 자립성과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통합은 진정한 발전이 아니다. 행정 편의주의적 접근은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의 의사를 무시하고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지역 간 불균형과 소외를 심화시킬 수 있다. 완주군은 더 이상 대도시의 위성으로 전락해서는 안 되며, 자치의 정신을 지키고 지역 고유의 발전 전략을 스스로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이번 대선은 지역을 위한 정책이 무엇인지, 누가 지역의 미래를 진정으로 고민하는지를 판별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다. 유권자는 단순한 정당이 아닌, 정당이 가진 철학과 정책의 방향성을 보고 선택해야 한다. 완주의 존립을 지키기 위해, 그리고 진정한 지방분권의 실현을 위해 이번 선택은 무엇보다 중요하다.